학회지 - Korean Association of Probation and Parole Services -

논문검색 HOME   /   학회지  /   논문검색
* 박스를 클릭하여 해당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보호관찰

Korean Journal of Probation

pISSN 1598-7558

보호관찰, 제24권 제1호 (2024)
pp.73~107

DOI : 10.46983/kapps.2024.24.1.3

- 재범 보호관찰 청소년의 성장 경험 - 소년범을 위한 치료 및 재활 중심의 처우 방안 검토 - -

김재선

(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박사)

여한구

(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본 연구는 재범 청소년의 보호관찰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 세 명의 연구대상자를 중심으로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절차로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의 경험과 이야기를 ‘재범 보호관찰 청소년의 초기가족 경험’, ‘재범 보호 관찰 청소년의 또래 및 대인관계 경험’, ‘재범 보호관찰 청소년의 일차 보호관찰 경 험’, ‘재범 보호관찰 청소년의 이차 보호관찰 경험’, ‘재범 보호관찰 청소년의 성장 경 험’의 5개로 범주화하였고, 이를 ‘피노키오’를 모티브로 시간, 공간, 그리고 관계의 흐름에 따라 재구성하였다. 재구성한 피노키오의 경험주제는 “존재하기”, “사랑받기”, “소속하기”, “상처받기”, “저항하기”, “인정받기”, “사람으로 다시 태어난 피노키오”로 접근했다. 이에 따른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범 보호관찰 청소년의 가족 경험과 의미는 부모의 삶과 양육 태도를 왜곡이나 편협, 부정으로 인식하고, 사회적 응 태도를 학습했다. 둘째, 재범 보호관찰 청소년의 보호관찰 경험과 의미는 가족 경 험을 통한 정서 및 태도가 관계 부적절감이나 불편감으로 나타나 일차 보호관찰에서 는 저항이 나타났다. 이차 보호관찰에서는 자기 행동에 책임지며 사회와 소통하고 적응하는 방법을 배웠다. 셋째, 재범 보호관찰 청소년은 보호관찰에서 적응방식의 변 화 필요성을 인식하고 수용했다. 이에 재범 보호관찰 청소년의 경험은 일탈이나 위 기 상황에서 성장 경험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재범 보호관찰 청소년의 초범 과 재범 보호관찰 경험을 탐구하고 분석했다는 데 있다. 본 연구가 누범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청소년 상담의 전문적 개입을 위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Probational Juvenile Recidivists’ Growth Experience

Kim, Jaesun

Yeo, Hankoo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nature of probations experienced by juvenile recidivists, which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9 to November 2021 targeting for three probational juvenile recidivists in C city. Clandinin’s narrative inquiry procedure and process was applied as the research method. The experiences and episodes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have shared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time, space, and relationship flow under the motif of “Pinocchio” from the aspects of: “The initial family experience of probational juvenile recidivists”, “probational juvenile recidivists’ peer and interpersonal experiences”, “probational juvenile recidivists’ primary probation experience”, “secondary probation experience of probational juvenile recidivists”, and “probational juvenile recidivists’ growth experience”. The reconstructed themes were reorganized as follows: “being”, “being loved”, “belonging”, “being hurt”, “resisting”, “being recognized”, and “Pinocchio reborn as a person”. Accordingly, the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probational juvenile recidivists recognized family experiences such as their parents’ attitudes toward them and their meanings as distorting, narrow-minded, or negative, and learned their own negative social adaptation attitudes. Second, as for the juvenile recidivists’ probation experience through family experiences and their meanings, they perceived them as inappropriate or uncomfortable, and their active resistance appeared in the first round of probation. In the second round of probation, they became more responsible for their actions and learned how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adapt to society. Third, probational juvenile recidivists recognized and accepted the need to change the way they adapt to society during probation. Therefore, their experience gradually appeared as an experience of personal growth in a situation of deviation or cris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plored and analyzed the experiences of first juvenile offenders and recidivists on prob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nticipated to serve as the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of repeated crimes and for professional intervention in future youth couns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