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관찰, 제24권 제1호 (2024)
pp.109~139
- 보호관찰실무자의 폭력피해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최근 변화하는 보호관찰 현장의 특성 중 하나는 보호관찰관이 업무처리 과정 중 폭력피해에 노출되는 빈도가 증가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에서는 보호관찰관의 폭력피해 경험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 서 본 연구는 보호관찰관의 폭력피해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형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폭력피해경험의 영향을 검증함에 있어서는 폭력피해경험을 전체폭력 피해경험과 하위유형별 폭력피해경험으 로 구분하여, 폭력피해경험의 다양성을 반영하려 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충청, 전라, 경상 등의 보호관찰소에서 근무 중인 6급 이하 보호관찰관 총 208명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핵심가설인 폭력피해경험과 직무만족도간에는 부적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보호관찰 관의 전체폭력 피해경험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 피해의 하위요인 중에는 간접언어 폭력피해경험만이 직무만족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둘째, 본 연구의 두 번째 가설인 폭력피해경험과 직무만족도간 관계에 있어서 스트레스 대처형태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존재하였다. 먼저, 전체폭력 피해경험 과 스트레스 대처형태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폭력피해의 하위유형별로 스트레스 대처형태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직접신체 폭력피해경험과 문제중심 대처 간, 간접신체 폭력피해경험과 문제중심 대 처 간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호 관찰관의 폭력피해를 예방하고,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보완책을 제안하였다.
The Effect of probation officers’ experience of violence victimization on the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methods
One of the emerging characteristics of the evolving probation field is that probation officers are increasingly exposed to violence victimization during their work processes. Despite this,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probation officers regarding violence victimizatio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probation officers' experiences of violence victimization on job satisfaction and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i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a convenience sampl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8 probation officers, grade 6 or lower, working in probation offices in Seoul, Gyeonggi, Incheon,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region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hypothesis of this study, tha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violence victimization and job satisfaction, was supported.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higher experiences of violence victimization among probation officers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job satisfaction. Notably, among the sub-factors of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of indirect verbal violence significantly decreased job satisfaction. Second, the study's second hypothesis, which proposed a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violence victimization and job satisfaction, was partially supported. Analyzing the interaction between subtypes of violence victimiza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significant interactions were found between experiences of direct physical violence and problem-focused coping, as well as between experiences of indirect physical violence and problem-focused coping.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to prevent violence victimization against probation officers and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